티스토리 뷰
결혼식 준비의 가장 메인이라고 할 수 있는 게 바로 결혼식장 대관인데요. 예식장을 대관하려고 보면 대체로 가격이 비싸고 유명한 곳은 정말 엄두도 못 낼 정도로 가격이 많이 나가는 경우가 많아요.
만약 내가 결혼식장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중간 이상만 되는 식장이면 좋겠다는 분들이나 알뜰하고 신속한 대관을 원하시는 신혼부부시라면 공공예식장도 많이 찾아보실 텐데요. 공공예식장이라고 해서 꼭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현재 정부에서는 예비부부를 위해 공공예식장을 지원하고 있는데, 공공예식장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게요.
1. 공공예식장 예약 알아보기
2. 공공예식장의 장점과 단점
먼저 공공예식장을 예약하는 방법부터 간략히 알려드릴게요. 예약하려면 정부 사이트에 접속하셔야 해요. 인터넷 포털에 공유누리를 검색해서 들어갑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텐데요. 여기에서 검색란에 키워드로 '웨딩' 혹은 '공공예식장'을 검색합니다.
검색을 하시면 공공예식장의 목록이 나오는데요. 통합검색란에 보시면 시나 도, 시/군/구 등을 검색하실 수 있게 되어 있어요. 따라서 사전에 식장을 올리기로 한 지역으로 검색을 하시면 가능한 리스트가 나옵니다. 여기에서 선택을 하시면 공공예식장을 대관할 수 있어요.
어떤 곳은 무료인 곳도 있고 약 40만 원에서 50만 원 사이의 가격이 대부분이에요. 여기까지만 들었을 때는 대관이 무료이거나 너무 저렴하니까 당연히 공공예식장이 좋은 것 아니냐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하지만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잘못 이용하면 사설 업체보다 비쌀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꽃이나 비품 등에 들어가는 비용입니다. 서울을 기준으로 실속형 대관비용은 최소 495만 원에서 시작하는데요. 꽃을 생화가 아닌 조화를 고르더라도 가격이 낮은 편은 아닙니다. 여기에 식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식대는 5만 원, 5.5만 원, 6.5만 원이 있고 대부분이 5.5만 원을 선택합니다. 이렇게까지 하면 거의 일반 사설 결혼식장과 가격이 비슷하게 됩니다. 따라서 공공예식장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죠.
내가 그럼 공공예식장을 대관만 하고 꽃이나 비품 등은 최대한 싸게 하면 되지 않냐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 공공예식장을 이용하면 연계된 꽃이나 비품을 필수적으로 해야 하고, 개인적으로 준비가 어렵습니다.
또 하나의 문제가 있는데요. 사설 업체는 스냅사진이나 사회자, 축가 등을 지정해서 포함된 가격이지만 공공예식장은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내가 하나하나 알아봐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요. 따라서 사설 업체에서 결혼식을 맡길지, 공공예식장을 선택하실지는 잘 고민해보셔야 합니다.
그렇다고 꼭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에요. 잘 따져봐야겠지만 지방과 같은 경우는 공공예식장을 이용하시는 것이 가격이 더 저렴하게 나올 수도 있고요. 공공예식장은 보통 지자체나 공공기관 보유시설에서 예식공간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국립미술관이나 국립박물관, 국립공원 등 이색적인 장소에서 결혼식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예비부부는 장점과 단점을 잘 따져서 선택을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상으로 공공예식장을 선택하는 것에 대한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현재 결혼을 앞두고 계신 예비부부는 장, 단점을 잘 따져보셔서 후회 없는 결혼식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알기 쉽게 쓴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기만 해도 포인트 사용이 가능한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 총 정리 (5) | 2025.07.25 |
---|---|
CGV, 메가박스, 롯데시네마 등 영화관람료 6천원 할인 받는 방법 꿀팁 (0) | 2025.07.23 |
여름철 정부 지원 한우 반값 이벤트 시기와 장소 총 정리 (4) | 2025.07.23 |
으뜸 효율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시, 무조건 10% 환급 받는 방법 (3) | 2025.07.23 |
단통법 폐지 실시 - 단통법 폐지하면 실제로 스마트폰 가격이 내려갈까? (1) | 2025.07.23 |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 국민 재난 지원금
- 홈택스 근로 장려금
- 소상공인 지원
- 전 국민 대상 지원금
- 금융 용어
- 경제 용어
- 소비 쿠폰
- etf s&p 500
- 개인 사업자 부가세
- 전 국민 생활 지원금
- 전 국민 지원금
- 정부 지원
- 국가 지원 사업
- etf
- 정부 지원금
- 소상공인 지원 사업
- 소상공인 정부 지원
- 금융
- 경제 단어
- 정부 지원 사업
- 경제
- 국세청 근로 장려금
- 근로 장려금 조건
- 정부 사업
- 근로 장려금 신청
- 근로 장려금 신청 방법
- 민생 회복
- 국민 재난 지원금
- 민생 회복 소비 쿠폰
- 정부 사업 지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